의미의 성분(成分)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5 22:48
본문
Download : 의미의 성분분석.hwp
다.
4. componentanalysis의 확장
4.1. 의미장의 componentanalysis
①친척어의 보기
남/여, 자/타…(투비컨티뉴드 )
의미론요약-2
Download : 의미의 성분분석.hwp( 78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성분(成分)analysis(분석) theory(이론)의 원리와 절차 의미성분(成分)의 유형에 관해 조사한 資料입니다.의미론요약-2 , 의미의 성분분석인문사회레포트 ,
3. 의미component의 유형
3.1. 공통적 component과 시차적 component
의미의 componentanalysis은 의미상으로 관련된 어휘소의 의미를 구분하는데서 출발한다. 주로 비유적 전이가 일어날 때 사용된다
한 어휘소가 비유로서 전이되는 과정에서 어휘소의 component 가운데 일부가 전이된 것을 component전이라 하며, 보조적 component이 사용된다
잉여적 component : 어떤 어휘소의 componentanalysis에서 예측될 수 있는 特性을 말하는 component
잉여 규칙아 갖는 중요한 기능은 어휘소의 의미기술에 있어서 간결성을 부여한다는 점이다.
순서
설명
의미의 성분(成分)analysis(분석)
성분분석이론의 원리와 절차 의미성분의 유형에 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공통적 component : 그 분야의 모든 어휘소가 공유하고 있는 component
시차적 component : 어떤 의미 안에서 서로 다른 어휘소를 구별해주는 component
3.2. 분류적 component과 관계적 component
분류적 component: 어떤 사물에 고유하게 구비된 特性을 가진 component 예) 남성 여성 인간
관계적 component: 관계에 따라 가지게 되는 component 예) 형&동생 아버지&아들
3.3. 보조적 component과 잉여적 component
보조적 component : 어떤 어휘소의 부차적인 特性을 의미하는 component. 같은 의미 분야에 속하는 다른 어휘소와 구별할 때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