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난방설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6 02:58
본문
Download : [건축학] 난방설비.hwp
보일러 수위와 환수주관과의 높이차는 보일러의 최고사용증기압에 상당하는 수두보다 크게 한다. (보통 h≧400mm)
∙고압식 - 지역난방이나 공장등에 쓰이고 배관을 가늘게 할 수는 있으나 방열면 온도가 높아 불쾌감이 크다는 결점
∙진공환수식 - 환수가 원할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경이 가늘게 되고 배관 구배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휘팅도 사용할 수 있다.
...건식 환수법 :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위보다 높게 배관. 환수관 내부에는 물이 충만하지 않고 그 하반부만 흐른다. [건축학] 난방설비 - 대학 보고서 제출자료
∙복관식 -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식으로 증기관과 환수관으로 나누고, 방열기마다 증기트랩을 설치하여 응축수 만을 환수관으로 보내는 방식.
[건축학] 난방설비
∙저압식 - 대규모 설비에서는 보일러로 고압증기를 발생시켜 배관도중에 감압하여 수요측에서 사용.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순서
②배관방식에 의한 분류
Download : [건축학] 난방설비.hwp( 95 )
∙진公式(공식) - 방열기내의 압력을 조절하여 그 온도를 광범위하게 변화시켜 방열량을 조절.
...습식 환수법 : 환수주관이 보일러 수위보다 낮게 배관. 배관내는 응축수로 충만되어 건식환수법에 비해 배관이 비교적 가늘게 되지만, 증기주관은 이보다 더욱 높게 해주어야 한다. 진공펌프는 일반적으로 전동식. 진공압은 -250mmHg 정도로 운전.
[건축학] 난방설비
①사용증기압력에 의한 분류
[건축학] 난방설비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설명
③응축수의 환수방식에 의한 분류
난방설비
1. 증기난방
∙중력환수식 - 방열기로부터 응축수를 환수관에 1/100정도의 하향구배를 붙여서 중력만에 의해 보일러에 돌려보내는 것. 저압보일러에 한해서 사용.
![[건축학] 난방설비-354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B%82%9C%EB%B0%A9%EC%84%A4%EB%B9%84-3545_01.gif)
![[건축학] 난방설비-354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B%82%9C%EB%B0%A9%EC%84%A4%EB%B9%84-3545_02_.gif)
![[건축학] 난방설비-354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B%82%9C%EB%B0%A9%EC%84%A4%EB%B9%84-3545_03_.gif)
![[건축학] 난방설비-354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B%82%9C%EB%B0%A9%EC%84%A4%EB%B9%84-3545_04_.gif)

∙단관식 - 방열기에 보내는 증기와 이용후의 응축수를 동일관으로 반송하는 것. 방열량의 조절은 방열밸브의 조절로 하지만 사용빈도가 낮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