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analysis 과정의(定義) 불확도 계산 - 측정 및 analysis 결과의 불확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08:19
본문
Download : 화학분석 과정의 불확도 계산 - 측정.hwp
산 염기 적정은 중화반응(같은 당량의 산과 염기 사이에서 중화되는 반응)을 이용하여 이들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5)질량 측정(測定) 을 끝낸 KHP 시약을 약 50mL 순수를 이용하여 삼각 플라스크에 옮기고 지시약을 첨가하였다.
총설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불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산 염기 적정에 사용되는 NaOH 용액의 표준화 과정을 GUM에 의한 불확도 계산의 두번쨰예제를 선택하였다.
화학analysis 과정의(定義) 불확도 계산 - 측정 및 analysis 결과의 불확도
화학분석 과정의 불확도 계산,불확도
1)일차 표준 물질인 KHP를 공급회사의 지침서에 따라 말린다.
다. 이것은 이 analysis 과정에 대한 관계식을 쉽게 작성할 수 있고, 불확도 계산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일것이다 산 염기 적정은 중화反應(반응)(같은 당량의 산과 염기 사이에서 중화되는 反應(반응))을 이용하여 이들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6) 50mL 뷰렛에는 적정액인 NaOH 용액을 채운 후 이산화탄소의 용해를 막기 위하여 알곤으로 bubbling하면서 적정하였다.
3.1 불확도 계산을 위한 관계식
측정(測定) 값의 불확도를 구하기 위하여 먼저 요인 변수로 설정된 측정(測定) 결과 관계 식(1)을 변형 하여 관계될 수 있는 모든 불확도 요인을 포함하는 불확도 요인들의 식(2)를 설정하였다.





Download : 화학분석 과정의 불확도 계산 - 측정.hwp( 36 )
2)KHP 시약의 질량은 화학저울을 이용한다. 이것은 이 분석 과정에 대한 관계식을 쉽게 작성할 수 있고, 불확도 계산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때 조제한 CNaOH(NaOH 표준용액의 농도(mol/L))은 다음과 같은 식(1)으로 구할 수 있따
3)시료 용액을 조제하기 위하여 NaOH 약 2g을 달아 1L의 순수에 녹였다.
따라서 CNaOH는 0.04839mol/L 로 표준화할 수 있었다.
3.불확도의 계산
설명
4)test(실험) 에 사용한 순수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탈이온수를 15분간 가열한 다음 방치하여 냉각시킨 물을 사용하였다. KHP의 질량은 0.05mol/L의 NaOH 용액이 20mL 소모되게 하기 위하여 가급적 다음과 같은 계산 양에 맞춘다.
순서
총설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불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산 염기 적정에 사용되는 NaOH 용액의 표준화 과정을 GUM에 의한 불확도 계산의 두번쨰예제를 선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