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용산화재 참사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1:37
본문
Download : ●용산참사.hwp
레포트 > 기타
●용산참사
1. 화재 원인 논란
●용산철거 배경
●용산참사 파급efficacy
설명
검찰 발표에 따르면, 농성자들은 화염병 400개, 염산병 40여 개, 쇠파이프
위키백과 [이용대상]
순서
용산참사에 대하여 [참고資料] 네이버지식
●용산참사 재판과정
다. 그는 ‘아직 망루 화재의 발화 지점이나 직접적인 화인은 확인되지 않았고, ‘계단에 뿌려진 액체가 화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 물질의 정체를 확인 중’이라고 밝혀 논란이 일었다.





[사회] 용산화재 참사에 대하여
Download : ●용산참사.hwp( 35 )
누리망 뉴스
●용산참사 검찰기소
용산참사에 대하여 [참고자료] 네이버지식 인터넷뉴스 위키백과 [이용대상]
새총으로 유리구슬 발사 : 차량 파손, 경찰 채증요원 가슴 타박상.
2. 폭력성 논란
●용산참사 논란
●용산참사 논란
그러나 2009년 9월 30일 공판에 증인으로 나온 경찰특공대원은 “진압 당시 화염병 던지는 것은 본 적이 없으며, 유리병 깨지는 소리가 들린 뒤 불이 올라 화염병으로 생각했을 뿐”이라고 답했다. 1월 27일 검찰 수사본부 관계자는 “망루 안에 있던 농성자가 경찰특공대 2차 진입 직전에 망루 2, 3층의 계단에 액체를 뿌리는 장면이 촬영된 동영상을 확보했다”라고 언론에 밝혔다. 한편 화재 전문가들은, 검찰의 공소사실처럼 인화성 물질의 유증이 꽉 차 있었다면, 옷깃이 스칠 때 발생하는 정전기만으로도 불이 붙을 수 있다고 증언했다. 그밖에 진입 과정에서 살수차가 물을 뿌리는 와중에 시너통이 넘어지는 사고가 있었으나, 시너를 붓는 농성자를 본 사람은 없었다.
사건 직후 용산경찰서는, 농성자들이 1월 19일부터 시위용품을 사용하였고 그로 인한 피해는 다음과 같았다고 밝혔다.
화염병 투척 : 농성건물 옆 건물 상가, 공가(1층 단독)에 화재 발생.
용산참사, 용산화재, 용산철거, 용산재판, 용산참사 논란
참사 사건 수사 중인 검찰이 경찰특공대의 진압 직전, 건물을 무단 점거하고 있던 한 농성자가 망루 계단에 인화물질로 추정되는 액체를 뿌렸다는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