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축 조사법(古建築 調査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8:09
본문
Download : 고건축 조사법(古建築 調査法)_1768.hwp
첨차하단의 곡선
이나 초가, 우설모양, 보머리 등의 세부는 탁본을 하지…(省略)
이해를 할 수 없지만 기둥이나 주간장치를 개조한 정도라면 간단한 ...
레포트/공학기술
_1768_hwp_01.gif)
_1768_hwp_02.gif)
_1768_hwp_03.gif)
_1768_hwp_04.gif)
_1768_hwp_05.gif)
_1768_hwp_06.gif)
고건축 조사법(古建築 調査法)
수리시 구조까지 개조되었을 경우에는 해체조사하지 않으면 도저히 완전한
수리시 구조까지 개조되었을 경우에는 해체조사하지 않으면 도저히 완전한 이해를 할 수 없지만 기둥이나 주간장치를 개조한 정도라면 간단한 ... , 고건축 조사법(古建築 調査法)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다. 탁본이라는 것은 건탁을 말하는 것으로 얇은 미농지를 부재위에
대고 묵지등으로 문질러 부재의 조각모양을 떠내는 것이다.
순서
Download : 고건축 조사법(古建築 調査法)_1768.hwp( 81 )
설명
수리시 구조까지 개조되었을 경우에는 해체조사하지 않으면 도저히 완전한
이해를 할 수 없지만 기둥이나 주간장치를 개조한 정도라면 간단한 조사로도
알 수 있다아 기둥의 개조는 우선 외관상 타부재와의 비교에서 부식도를 보면
알 수 있고, 인방의 홈구명이나 주선등에서도 찾아 낼 수 있다아 주간창치의 개
조는 기둥에 남아있는 타재흔이나 맞춤구명 등을 조사하면 쉽게 알 수 있다아
그러나 대개 주간은 벽체나 창, 문등이 있으므로 쉽게 알아내기 힘든 경우도
있다아 그러나 자세히 조사하면 벽토의 부착, 금구흔, 구재의 잔존, 돌저귀 구
멍, 못구멍을 발견할 수 있다아 이러한 구재흔적이나 구재잔존은 흔적도를 그릴
필요가 있을 때는 별도로 그려야 하며 간단할 때에는 省略하여도 된다
5) 擢本
건물에는 조각류에 속하는 부재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여 탁본도구를 준비하
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