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연구의 현재와 future(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9 10:15
본문
Download : 게놈연구의 현재와 미래_1142708.hwp
이것을 발증 전 유전자 진단이라 한다. 근위축증이나 혈우병, 페니케톤뇨증(Phenylketonuria) 등 이전부터 유전병이라 불려온 것이 많다. 단일 유전자병은 유전자와 관련된 질병 중의 1%에 불과하다고 알려져 있다아
한편, 복수의 유전자와 다양한 environment이 관련되어 발병하는 것을 다인자 유전자병이라 한다.
유전자만이 아니라 식생활 등의 environment과도 관련이 있는 당뇨병이나 고혈합과 같은 성인병 등은 그 질환에 걸리기 쉬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면, 증세가 나타나기 전부터 식생활에 주의하거나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하는 등, 조기치료 및 예방에 이용할 수 있다아
또한 태아 단계에서 질병을 조사하는 출생…(drop)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다. 전형적인 것으로는 당뇨병, 암, 고혈압, 심근경색, 비만증 등의 성인병이 있다아
2. 장래의 병을 예측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
질환의 유전자가 속속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면 현재 건강한 사람이라도 유전자를 조사햐여 장래 걸릴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게놈연구의현재와future(미래)
레포트/의약보건






게놈연구의 현재와 future(미래)
게놈연구의현재와미래 , 게놈연구의 현재와 미래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게놈연구의 현재와 미래_1142708.hwp( 63 )
설명
Ⅲ. 유전체 연구결과의 활용
1. 단일 유전자병과 다인자 유전자병
단 1개의 유전자의 변이가 발병과 관계된 질환을 단일 유전자병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