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교육과정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4 08:09
본문
Download : 7차교육과정국어.hwp
7차교육과정국어 , 7차교육과정국어인문사회레포트 ,
7차교육과정국어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2) 구개음화(口蓋音化)
• 구개음화
개념(槪念) :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ㅣ‘로 스타트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 ㅌ`이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말할 때에는 이렇게 센입천장소리로 바뀐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구디 →[구지], 해돋이 →해도디 →[해도지], 같이 →가티 →[가치], 닫혀 →다텨 →[다쳐], 붙이다 →부티다 →[부치다],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 歷史(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
개념(槪念) : 비록 형태소 결합 과정이 전제되지 않은 한 형태소 안이지만, 歷史(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는 구개음화로 인정할 수 있따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는 형식 형태소인 조사나 접사가 결합한 경우가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한 형태소 내에서나 합성어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근대 국어에 구개음화를 겪은 것들은 표기까지 구개음화된 형태로 굳어졌다. 그러나 근대 국어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인문사회,레포트
7차교육과정국어
설명
7차교육과정국어
순서






Download : 7차교육과정국어.hwp( 35 )
7차교육과정국어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반면 표준 발음법에서는 구개음화된 소리를 표준…(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