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5 01:31
본문
Download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hwp
형이상에 해당하는 도 혹은 리는 감각적 지각의 대상이 아니라 직관과 사유의 방법으로 획득되는 성질의 것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사실의 세계에서 리의 발용…(skip)
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그 논의...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4. 리를 보는 관점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4. 리를 보는 관점
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그 논의의 초점은 대체로 기와 구별되는 리의 존재와 그것의 체용 등에 관한 올바른 인지의 방법에 맞추어져 있따 이 글에서 갈암은 퇴계의 설을 인용하여 `학문과 도술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리자가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Download :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hwp( 23 )
4. 리를 보는 관점그의 말년(78세 갑신)에 우담에게 답한 글(답정군익)의 별지에서 논의된 것은 총 6항이다. 그보다는 이 언명은 내면에서 일어나는 리의 발에 대한 일종의 체인 혹은 체험에 입각한 앎의 차원을 가리킨다고 생각된다 그가 퇴계의 주리설을 신봉하는 것은 퇴계의 이러한 사고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따 그가 리의 자발과 자동을 입증하고 설명(explanation)하려는 태도도 그것과 깊은 연관이 있따
리기이원론의 체제에서 리만을 별도로 설명(explanation)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인식론적 관점과 방법의 반성을 필요로 한다. 리자가 알기 어렵다는 이유는 단순히 성리학의 definition 이나 그로써 구성되는 논리와 theory 의 차원에서 말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 그 논의...
갈암의 리기론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