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학기 정책평가론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6 08:07
본문
Download : 20141_출석_행정4_정책평가론.pdf
① 허위변수: 두 변수들 간에 전혀 관계가 없음에도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처럼 나타나도록 두 변수들에 모두 influence을 미치는 숨어 있는 변수
(3) 허위변수와 혼란변수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2) 인과관계추론의 조건(밀)
(1) 인과관계의 의미
② 상시연결성의 원칙(공동change(변화)의 원칙): 원인이 되는 현상이 change(변화)하면 결과적인 현상도 항상 같이 change(변화)해야 함
제3장 인과적 추론과 타당성 제4장 실험적 접근방법 제5장 준실험적 접근방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정책평가론,방통대정책평가론,방송대정책평가론,정책평가론요약,정책평가론핵심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제3장 인과적 추론과 타당성
설명
2014년 1학기 정책평가론 출석대체시험 point체크
제3장 인과적 추론과 타당성
순서
제5장 준test(실험) 적 접근방법
제4장 test(실험) 적 접근방법
③ 경쟁가설 기각의 원칙(경쟁가설의 배제원칙): 결과는 원인변수에 의해서만 설명(explanation)되어져야 하며, 다른 변수(제3의 변수 또는 외재적 변수)에 의한 설명(explanation)가능성은 배제되어야 함
1. 정책평가에서 인과관계
① 원인(어떤 현상을 일어나기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선행요인, 어떤 현상을 일으키거나 change(변화)시키는 요인)과 결과(원인에 의해 야기된다고 가정하는 것)간의 관계를 의미
② 혼란변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change(변화)에 부분적으로 influence을 미치고 또 뒤에 숨어 있는 변수들의 change(변화)에도 부분적으로 influence을 미치는 변수
② 정책목표달성의 수단으로서의 정책: 어떤 change(변화)를 가져오는 데 한 원인(X)이 되었다고 할 때에는 change(변화)(Y)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하는 것을 의미
- 중략 -
① 시간적 선행성의 원칙: 원인이 되는 사건이나 현상은 결과보다도 시간적으로 먼저 발생해야 함
Download : 20141_출석_행정4_정책평가론.pdf( 22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