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erebellar ataxi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7 08:09
본문
Download :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hwp
그러나 이러한 운동조절은 소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대뇌와도 깊은관계를 맺으면서 일어난다.
소뇌는 대뇌의 약 8분의 1정도 크기이며 뇌줄기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신체 각 부위의 운동을 조합하여 평형을 지키며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정교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소뇌에 손상이 오면 운동기능이나 평형감각을 조절할 수 없어 정밀하게 움직일 수 없게 되며 걸음걸이도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조절은 소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대뇌와도 깊은관계를 맺으면서 일어난다.
(4) 소뇌조화운동불능의 분류
운동치료학,소뇌성 운동 실조증,cerebellar ataxia
Download :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hwp( 41 )
레포트 > 의학계열
다. 소뇌에 손상이 오면 운동기능이나 평형감각을 조절할 수 없어 정밀하게 움직일 수 없게 되며 걸음걸이도 불안정하게 된다.소뇌는 대뇌의 약 8분의 1정도 크기이며 뇌줄기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후천적으로는 혈관장애나, 알코올중독, 자가면역反應 이상, 감염, 약물, 종양, 대사장애, 발달장애 및, 선천성기형 등에 의해 발생되기도 한다.
순서
① 유전적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erebellar ataxia)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205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86%8C%EB%87%8C%EC%84%B1%20%EC%9A%B4%EB%8F%99%20%EC%8B%A4%EC%A1%B0%EC%A6%9D(c-2054_01.jpg)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205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86%8C%EB%87%8C%EC%84%B1%20%EC%9A%B4%EB%8F%99%20%EC%8B%A4%EC%A1%B0%EC%A6%9D(c-2054_02_.jpg)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205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86%8C%EB%87%8C%EC%84%B1%20%EC%9A%B4%EB%8F%99%20%EC%8B%A4%EC%A1%B0%EC%A6%9D(c-2054_03_.jpg)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205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86%8C%EB%87%8C%EC%84%B1%20%EC%9A%B4%EB%8F%99%20%EC%8B%A4%EC%A1%B0%EC%A6%9D(c-2054_04_.jpg)
![[운동치료학] 소뇌성 운동 실조증(c-205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86%8C%EB%87%8C%EC%84%B1%20%EC%9A%B4%EB%8F%99%20%EC%8B%A4%EC%A1%B0%EC%A6%9D(c-2054_05_.jpg)
유전성인 경우 대부분 보통염색체우성유전을 하며 20세 이후 발병하나 드물게 보통염색체열성유전을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개 20세 이전에 발병한다. 소뇌의 장애에 의해 근력이나 심부감각에 이상이 없는 데는 수의운동이 잘 안되고 자세나 평형의 유지에 장애가 발생하여 팔다리의 운동장애, 자세이상, 보행 장애 등이 나타난다. 우성유전성 소뇌조화운동불능(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ADCA)은 불균일한 신경계퇴행성질환으로써 지금까지 알려진 척수-소뇌성 조화운동불능(spinocerebellar ataxia) 은 제1형부터 제17형까지이다. 신체 각 부위의 운동을 조합하여 평형을 지키며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정교하게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소뇌조화운동불능은 주로 보통염색체 우성형질로 유전되나 열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
(3) 원인
설명
유전성 소뇌조화운동불능은 새로운 관념의 유전자분류방식으로 구분할 때 보통 염색체우성유전과 보통염색체열성유전으로 구분하고 나머지는 모성유전 혹은 사립체장애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