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3 05:41
본문
Download :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hwp
[인문사회]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Download :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hwp( 52 )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 현행법의 규정 및 논의 경과 (1) 현행 법규정 ○ 노조법은 복수노조 설립을 2009. 12. 31까지 잠정적으로 금지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단지 조직대상 중복으로 인해 복수노조에 해당하는지의 여부 자체만이 문제되고 있음. - 특히 최근에는 산별노조의 확장으로 인해 기존의 기업별노조와 산별노조 지부간에 조직대상이 중복되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부분임. ○ 향후 복수노조 허용과 관련된 point적인 사항인 ‘교섭창구단일화 방안’에 대해서는 `자율적 단일화`, `과반수대표제` 또는 `비례대표제` 등 다양한 opinion(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방법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임. (2) 논의 경과 ○ 1999. 12. 노사정위원회 공익위원안을 토대로 한 政府안이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회기 종료로 자동폐기된 바 있는데, 결국 복수노조와 전임자 문제를 연계시켜 5년간 유예키로 노사정이 합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1999년 당시 노사정위 공익위원안 주요내용】 ▶ 노조 자율로 교섭창구 단일화 ▶ 단일화 실패시 과반수 노조에게 배타적 교섭권 부여 ▶ 과반수 노조가 없을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법으로 결정 ○ 한편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방안’(2003. 12.)은 다음과 같이 예정하고 있음.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방안】 ▶ 조직대상을 같이하는 복수노조의 경우 ⇒ 일정기한까지 노조자율로 단일화가 안될 경우에는 법상 규정된 교섭창구 단일화 방식(1안 과반수대표제, 2안 비례대표제)을 적용 ⇒ 교섭창구를 단일화할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교섭의무가 있음. ▶ 조직대상을 달리하는 소위 다수노조의 경우 ⇒ 개별 노조와 각각 교섭함. 2. 복수노조 설립시 폐해 ○ 노사관계 불안 증대 노조 난립, 노노 갈등과 분열(계파 또는 이념 분쟁, 선명성 경쟁, 관할권 또는 대표권 분쟁 등), 노조의 잦은 이합집산으로 인...
인문사회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설명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복수노조 관련 현행법의 규정 및 진행 경과와 복수노조 설립시의 예상 폐해...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