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음악과 노동음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7:04
본문
Download : .hwp
민중지향성 민족음악 노동음악 / (민족음악)
2. 음악에서의 민족성 문제
그러나 자본주의 시대에 접어들면 버려진 채로나마 유통되던 민중적 민족음악을 두가지의 새로운 特性(특성)이 더 폭압적으로 해체시키고 자본가들의 이해와 입장을 음악적으로 강요한다.설명
3. 진정한 음악은 민중을 지향한다. 그것은 발달한 전파매체와 의무교육체계이다.
7. 노동자가 가장 좋아하는 노래
1. 민족이란?
8. 외래대중가요의 활용문제
레포트 > 예체능계열
이 과정에서 사이비 서구음악이 고급이라는 환상을 유포시켰고 전통文化(culture) 의 건강성을 거세시켜 박물관용으로 박제화 시켰으며 상업적 대중음악으로 대중의 관심을 물질적이며 말초신경을 건드리는 일차원적 인간으로 몰아갔다. 이제 아무도 제도음악의 테두리 밖에 안전한 자리를 찾지 못하게 되었다. 이 생산의 과정에서 생겨난 음악은 그 자체만으로 진보성과 건강성을 지니며 인간의 삶에 유익하고 새로운 재창조의 활력과 노동이 주는 기쁨을 인식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따
Download : .hwp( 63 )





6. 어떤 노래가 노동자의 노래인가?
9. 민중적 민족음악인 노동음악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
순서
민중지향성 민족음악 노동음악
4. 음악에서의 민중지향성
그러나 생산하지 않는 사람이 생산하는 사람을 지배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음악도 그 본래의 기능을 잃고 시간과 경제적 여유를 가진 소수에게 봉사하는 위치로 떨어지고 말았다.
민중지향성 민족음악 노동음악 / (민족음악)
5. 노동자에게 있어서 노래란?
인간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라면 그 존재를 가능케 하는 의식주의 생산이 가장 소중한 행위가 되며 그 생산행위의 주체인 민중이야말로 이 세상을 받치는 가장 소중한 버팀목이 된다.
민족음악과 노동음악
다.
민중들이 애창하던 민요야말로 다소 거친면이나 규모에서의 세련미가 부족한 점이 있다 해도 음악文化(culture) 본래의 건강함과 창조성을 지닌 예술적 기능을 잘 포함하고 있따 그래서 전문 음악인들도 그들 예술의 새로운 활력을 민요에서 구하고는 한다. 따라서, 이제 다시 새롭게 그들의 이해와 입장을 반영하는 음악을 유통시키게 된다. 음악이 민중을 버리면 민중 또한 음악을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