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0 08:55
본문
Download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_3233105.hwp
① 60년대 이전 - 학습에 관심. 학생의 학습에 관한 체계만 이해한다면 교수 방법은 자연히 나온다는 낙관론.
② 60년대 이후 - 학습이론(理論) 이해가 교수 활동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이론(理論) 이해.
‘교육과정개혁운동’ 발발 - 진보주의의 부정.
경험중심교육과정 반대.
브루너 『교육의 과정』 - 학문중심교육과정으로의 이행.
2) 학습이론(理論)과 교수이론(理論)의 차별성.
가. 최초의 학습이론(理論)
동물학습 - 파블로프의 ‘개’ 조건반사 experiment(실험).
쏜다이크의 ‘고양이’ 시행착오 experiment(실험).
스키너의 ‘흰쥐’ 강화이론(理論), 작동적 조건 형성 이론(理論).
experiment(실험)실(인간) 학습 - 무의미 철자 학습.
→ 인간과 동물은 같은 연속선상에 있다는 전제에서 experiment(실험).
⇒ 그 결과를 인간학습(학교학습)에 적용. 인본주의자, 기독교론자의 반대.
나. 학교 학습과의 차이
1. 학습자
- 특수한 성격을 가진 학습자가 아닌 일반적 특성(特性)을 지닌 학습자.(개인차가 심함.)
2. 과거 경험에 대한 대처방식
- 과거의 경험과 단절되거나 최소화 시…(투비컨티뉴드 )
다.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본 자료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교욱방법및교육공학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공학기술레포트 ,
교욱방법및교육Engineering
순서
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
Download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_3233105.hwp( 87 )
1. 교수 이론(理論) 발달 배경
1) 학습이론(理論)의 한계성(무용론의 대두)
- 학교 학습은 이해에 기존 학설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자료(資料)는 교육방법 및 교육Engineering에 대해 요점한 리포트입니다.